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기관리가 중요한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자가관리

by 강부장2 2024. 5. 15.
척추관협착증 초기관리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의 초기 관리는 증상을 완화하고 질환의 진행을 막기 위해 중요합니다.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생활의 질을 유지하고, 증상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척추관협착증의 초기관리 방법부터 자가진단 및 관리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자가관리

 

 

목차

1. 척추관협착증 초기관리
2.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3. 척추관협착증 자가관리

 

 

척추관협착증 초기관리

 

 

 

생활 습관 개선 (Lifestyle Modifications)

 

체중 관리

● 적절한 체중 유지 : 체중이 증가하면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균형 잡힌 식사 : 영양소가 골고루 포함된 식단을 유지하여 체중을 관리하고, 척추 건강을 지원합니다.

적절한 운동

유산소 운동 :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저충격 유산소 운동은 척추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근력을 강화하여 척추 지지를 개선합니다.
스트레칭 : 허리와 다리 근육을 늘려주는 스트레칭 운동은 경직을 완화하고 유연성을 증가시킵니다.
근력 강화 운동 :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은 척추 지지를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코어 근육 강화 운동(플랭크, 브리지 운동) 등이 유용합니다.

 

 

척추관협착증 허리협착증 바른자세 유지
척추관협착증 허리협착증 바른자세 유지 / 출처 : 경기실버신문 (https://www.silversidae.com/23063)

 

 

바른 자세 유지

올바른 앉는 자세 : 의자에 앉을 때 허리를 똑바로 하고, 발을 바닥에 평평하게 둡니다. 등받이에 등을 기댄 상태로 앉는 것이 좋습니다.
서 있을 때 자세 : 서 있을 때는 어깨를 뒤로 젖히고, 몸을 일직선으로 유지합니다. 한쪽 발에 체중을 실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일상 생활 습관

무거운 물건 들기 :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허리를 구부리지 말고, 다리의 힘을 사용하여 들어 올립니다.
반복적인 동작 피하기 : 반복적인 동작을 피하고, 작업 중간중간에 휴식을 취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입니다.

 

약물 치료 (Medicatio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예시 :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록센(naproxen)
효과 :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진통제 (Analgesics)

예시 :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효과 : 통증을 완화하여 일상 생활을 더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근육 이완제 (Muscle Relaxants)

예시 : 사이클로벤자프린(cyclobenzaprine)
효과 : 근육 경련과 긴장을 완화합니다.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수동적 물리치료

마사지 : 근육 긴장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개선합니다.
온열 요법 : 온찜질이나 열 패드를 사용하여 근육의 경직을 완화하고, 혈류를 증가시킵니다.
냉찜질 : 얼음 팩을 사용하여 염증과 통증을 줄입니다.

능동적 물리치료

운동 프로그램 : 물리치료사가 제공하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근력과 유연성을 증진시킵니다.
균형 및 자세 교정 : 균형 훈련과 자세 교정을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입니다.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물리치료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물리치료 / 출처 : 서울정석정형외과 (http://www.seouljungseok.com/sub/contents2.php)

 

 

비수술적 치료 (Non-Surgical Treatments)

 

주사치료 (Injection Therapy)

스테로이드 주사 (Steroid Injections) :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주사는 척추관 주변에 직접 투여됩니다.
경막외 주사 (Epidural Steroid Injections) : 신경근 주위의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전기 치료 (Electrotherapy)

TEN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 피부에 전극을 부착하여 경피적으로 전기 자극을 주어 통증을 완화합니다.
초음파 치료 (Ultrasound Therapy) : 고주파 초음파를 사용하여 조직 깊숙한 곳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염증과 통증을 줄입니다.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전기치료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전기치료 / 출처 : 광화문정형외과의원 (https://ghmos.co.kr/theme/ghmos/sub/non-surgery_30a0.php)

 

 

생활 환경 조정 (Environmental Modifications)

 

적절한 침대와 베개 사용

매트리스 : 적절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매트리스를 사용하여 척추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유지합니다.
베개 : 목과 허리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베개를 사용합니다.

작업 환경 조정

책상과 의자 : 작업할 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의자를 사용합니다.
컴퓨터 모니터 위치 :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추어 목과 허리의 긴장을 줄입니다.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자가진단은 전문적인 진단을 대신할 수 없지만, 증상을 통해 척추관협착증 가능성을 미리 확인하고 조기에 치료를 받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자가진단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증상 체크리스트

 

척추관협착증의 주요 증상을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항목들을 점검해보세요.

통증의 위치와 양상

허리 통증: 허리 중앙부에 지속적인 통증이 있습니까?
목 통증 : 목 부위에 통증이 있습니까?
다리 통증 : 다리, 엉덩이, 혹은 발까지 방사되는 통증이 있습니까?
팔 통증 : 팔이나 손으로 방사되는 통증이 있습니까?

신경학적 증상

저림 및 무감각 : 다리나 발, 팔이나 손에 저림이나 무감각이 있습니까?
근력 약화 : 다리나 팔의 힘이 약해졌다고 느끼십니까?
반사 이상 : 반사 신경이 비정상적으로 느껴지거나, 감소 또는 증가한 반사가 있습니까?

간헐적 파행

걷기 어려움 : 오래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의 통증이나 무감각이 생겨 걷기가 어려워지십니까?
휴식 후 증상 완화 : 앉거나 앞으로 몸을 구부리면 통증이 완화됩니까?

운동 장애

운동 범위 감소 : 허리나 목의 운동 범위가 줄어들고, 특정 동작을 할 때 통증이 생깁니까?
● 균형 장애 : 균형을 잡기 어렵고, 넘어지기 쉬운가요?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특정 동작 및 자세 확인

 

특정 동작이나 자세를 통해 척추관협착증의 증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방 굽힘 테스트

방법 : 서서 허리를 앞으로 구부려 손을 바닥에 대려고 해보세요.
결과 : 통증이 감소하거나 완화되면 척추관협착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자세는 척추관을 넓혀 신경 압박을 줄여줍니다.

후방 굽힘 테스트 ◀ 

방법 : 서서 허리를 뒤로 젖혀보세요.
결과 : 통증이 증가하면 척추관협착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자세는 척추관을 좁혀 신경 압박을 증가시킵니다.

간헐적 파행 테스트

방법 : 직선으로 10분 이상 걷거나, 서서 5분 이상 서 있습니다.
● 결과 :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에 통증이나 저림이 생기고, 앉거나 앞으로 구부리면 통증이 완화되면 척추관협착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 출처 : 종각한의원 (https://steemit.com/kr/@wooricare/6kf8rn)

 

생활 습관과 증상 관련성 확인

 

일상 생활에서 증상이 언제,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관찰합니다.

활동 수준

● 활동 시 증상 : 활동량이 많을 때 통증이 증가하는가요?
휴식 시 증상 : 휴식 시 통증이 완화되는가요?

일상 생활에서의 불편함

앉기와 서기 : 앉아 있거나 서 있을 때 어떤 자세가 더 편한가요?
수면 시 증상 : 특정 자세에서 잠을 잘 때 통증이 발생합니까?

 

 

척추관협착증 자가관리

 

 

 

초기관리와 마찬가지로 자가관리는 증상 완화와 질병 진행을 늦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척추관협관층의 자가관리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

 

체중 관리

균형 잡힌 식사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된 식사를 통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입니다.
- 단백질 : 근육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비타민 D와 칼슘 : 뼈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규칙적인 운동

유산소 운동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저충격 유산소 운동은 척추와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심혈관 건강을 유지하고 체중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칭 운동
허리와 다리 근육을 늘려주는 스트레칭은 경직을 완화하고 유연성을 증가시킵니다.
- 펠비스 틸트 : 등을 대고 누워 무릎을 굽히고 발을 바닥에 댄 채로 골반을 위아래로 움직입니다.
- 무릎 가슴 당기기 :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한쪽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기고 유지합니다. 반대쪽도 반복합니다.

근력 강화 운동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하여 척추를 지지합니다.
- 브리지 운동 :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고 발을 바닥에 대고, 엉덩이를 들어 올려 몸을 일직선으로 만듭니다.
- 플랭크 : 팔꿈치와 발끝을 바닥에 대고 몸을 일직선으로 유지합니다.

바른 자세 유지

- 앉을 때 : 허리를 똑바로 세우고, 의자에 등을 기댄 상태로 앉습니다. 발은 바닥에 평평하게 둡니다.
- 서 있을 때 : 어깨를 펴고, 체중을 양발에 균등하게 분산시킵니다.
- 컴퓨터 작업 시 :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추고, 키보드와 마우스를 몸에 가까이 두어 어깨와 목의 긴장을 줄입니다.

적절한 물건 들기 방법

- 올바른 자세 : 물건을 들 때는 허리를 구부리지 말고, 다리의 힘을 사용하여 들어 올립니다.
- 보조 기구 사용 :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카트나 수레 등의 보조 기구를 사용합니다.

 

 

허리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자가진단 / 출처 : 하이닥뉴스 (https://mobile.hidoc.co.kr/healthstory/news/C0000390049)

 

 

통증 관리

 

온열 요법 (Heat Therapy)

- 온찜질 : 온찜질 팩이나 뜨거운 물병을 사용하여 허리와 다리의 긴장을 완화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합니다.
- 열 패드 : 전기 열 패드를 사용하여 근육 경직을 풀어줍니다.

냉찜질 (Cold Therapy)

- 얼음 팩 : 염증과 부종을 줄이기 위해 얼음 팩을 사용합니다. 한 번에 15-20분 정도 사용하고, 중간에 휴식을 취합니다.

약물 사용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록센(naproxen) 등은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진통제 (Analgesics) :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 통증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 근육 이완제 (Muscle Relaxants) : 사이클로벤자프린(cyclobenzaprine)은 근육 경련과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생활 환경 조정

 

침대와 베개 선택

- 매트리스 : 척추를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단단함을 가진 매트리스를 선택합니다.
- 베개 : 목과 척추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높이와 지지력을 가진 베개를 사용합니다.

작업 환경 조정

-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과 의자 : 앉을 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의자를 사용합니다.
- 모니터 위치 조정 : 컴퓨터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추어 목과 허리의 긴장을 줄입니다.

 

 

 

 

스트레스 관리

 

이완 기법 (Relaxation Techniques)

- 명상 : 매일 10-15분 정도 명상을 통해 심신을 이완하고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 심호흡 운동 : 깊고 느린 호흡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고, 신경계를 안정시킵니다.

규칙적인 수면

- 수면 습관 개선 :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여 충분한 수면을 취합니다.
- 편안한 수면 환경 : 어둡고 조용한 환경에서 수면을 취하여 깊은 잠을 유지합니다.

 

정기적인 의사 상담

 

정기 검진

- 의사와의 정기적인 상담 : 증상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의사를 방문합니다.
- 영상 검사 : 필요시 MRI나 X-ray 등의 검사를 통해 척추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조정합니다.

물리치료사의 지도

- 전문가의 운동 지도 : 물리치료사의 지도를 받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합니다.
- 운동 강도 조절 :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상태에 맞는 운동 강도와 빈도를 조절합니다.

 

★ 척추관협착증의 자가관리는 생활 습관 개선, 통증 관리, 생활 환경 조정, 스트레스 관리 및 정기적인 의사 상담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질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자가관리는 개인의 상태에 맞게 조절되어야 하며, 의료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최적의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허리협착증? 척추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정의 원인 증상

허리협착증? 척추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일반적으로 '허리협착증' 혹은 '척추협착증' 으로 많이 알고 계실 것입니다. 척추협착증이나 허리협착증이라는 표현은 좀 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gm-kang-metami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