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허리협착증? 척추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정의 원인 증상

by 강부장2 2024. 5. 15.
허리협착증? 척추협착증? 척추관협착증?

일반적으로 '허리협착증' 혹은 '척추협착증' 으로 많이 알고 계실 것입니다.
척추협착증이나 허리협착증이라는 표현은 좀 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명으로는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이라는 표현이 가장 정확하고 의료적으로 적절한 용어입니다.
오늘은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원인,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정의 원인 증상

 

 

목차

1. 척추관협착증 정의
2. 척추관협착증 원인
3. 척추관협착증 증상
4. 척추관협착증 주요 발생 부위

 

 

척추관협관증 정의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척추관(vertebral canal) 내의 공간이 좁아져서 척수(spinal cord) 및 신경근(spinal nerves)을 압박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척추관은 척추 뼈가 형성하는 통로로, 이 공간을 통해 척수가 지나가며, 신경근들이 각 부위로 뻗어나갑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이 통로가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척추관협착증
척추관협착증 / 출처 : 판교우리재활의학과의원 (https://www.woori2018.co.kr/26)

 



척추관 구조

 

척추여러 개의 척추뼈(vertebrae)가 모여서 척추관을 형성합니다. 척추관 내부를 척수가 지나가며, 각 척추뼈 사이로 신경근이 나와서 몸의 각 부위로 분포합니다. 척추관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척추뼈(Vertebrae) : 척추를 구성하는 개별 뼈로, 척추관을 형성합니다.
● 척수(Spinal Cord) : 뇌에서부터 이어지는 신경 다발로, 척추관 내부를 지나갑니다.
● 신경근(Spinal Nerves) : 척추뼈 사이의 공간(추간공)을 통해 나와서 말초 신경으로 분포합니다.
● 추간판(Intervertebral Disc) : 척추뼈 사이에 위치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인대(Ligaments) : 척추를 안정시키고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척추관의 구조
척추관의 구조 / 출처 :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https://www.neurospine.or.kr/info/info.php?tab=8)

 

 

척추관협착증 원인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 압박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주요 원인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퇴행성 변화 (Degenerative Changes)

 

퇴행성 변화는 척추관협착증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척추 구조에 여러 변화가 생기며, 이는 척추관 협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퇴행 (Degenerative Disc Disease) : 디스크가 노화로 인해 수분을 잃고 탄력성을 잃게 되면, 디스크 높이가 줄어들고, 돌출되거나 탈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질 수 있습니다.
골극 형성 (Osteophytes) :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으로 인해 척추 뼈 가장자리에 뼈 돌출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 골극이 척추관을 좁히고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인대 비대 (Ligamentum Flavum Hypertrophy) : 척추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황색인대가 퇴행성 변화로 인해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척추관 내부 공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후관절 비대 (Facet Joint Hypertrophy) : 척추 후관절의 비대는 척추관을 좁히고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원인
척추관협착증 원인 / 출처 : 제일정형외병원 (https://m.blog.naver.com/cheil2019/223044673048)




선천적 요인 (Congenital Factors)

 

일부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좁은 척추관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이러한 선천적 협착은 나이가 들면서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선천성 척추관 협착증 (Congenital Spinal Stenosis) :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은 경우, 비교적 젊은 나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외상 (Trauma)

 

척추에 직접적인 외상이 가해지면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골절 (Fractures) : 척추 뼈의 골절은 척추관 공간을 좁히고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탈구 (Dislocations) : 척추의 탈구는 척추관을 압박하고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원인
척추관협착증 원인 / 출처 : 심정병원 (https://m.blog.naver.com/shimjeongh/222324680220)



디스크 질환 (Disc Disorders)

 

디스크 문제는 척추관협착증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디스크 탈출증 (Herniated Disc) : 디스크의 내부 물질이 돌출되거나 탈출하여 척추관 내로 들어가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돌출 (Bulging Disc) : 디스크가 전체적으로 돌출되어 척추관을 좁히고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후천성 질환 (Acquired Conditions)

 

후천성 질환도 척추관협착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척추염 (Spondylitis) : 염증성 질환이 척추에 영향을 미쳐 척추관을 좁힐 수 있습니다.
종양 (Tumors): 척추나 척추관 내부에 발생한 종양은 공간을 차지하며 척추관을 좁힐 수 있습니다.
Paget병 (Paget's Disease) : 뼈의 비정상적인 성장과 재형성으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질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itis) :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 척추가 강직되고 변형되어 척추관이 좁아질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합병증 (Post-Surgical Complications)

 

척추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도 척추관협착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유착 (Scar Tissue Formation) : 척추 수술 후 흉터 조직이 형성되어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재발 (Recurrence) : 초기 수술 후 문제가 재발하여 척추관이 다시 좁아질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증상

 



통증 (Pain)

 

척추관협착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입니다. 통증의 위치와 양상은 병변의 위치와 압박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요추부 척추관협착증 ◀

● 허리 통증 : 주로 허리 중앙부에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납니다. 앉아 있을 때보다는 서거나 걸을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 다리 통증 : 허리에서 엉덩이, 다리로 이어지는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통증은 주로 신경이 눌리는 부위에 따라 좌골신경통(sciatica)과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 경추부 척추관협착증 ◀

● 목 통증 : 목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며, 머리를 특정 방향으로 돌리거나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팔 통증 : 목에서 어깨와 팔로 이어지는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증상 (Neurological Symptoms)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압박되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림 및 무감각 (Numbness and Tingling) : 다리, 발, 팔, 손 등에 저림이나 무감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압박된 신경의 분포 영역에 따라 다릅니다.
근력 약화 (Muscle Weakness): 신경 압박으로 인해 근육의 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요추부 협착증에서는 다리 근력이 약해지고, 경추부 협착증에서는 팔 근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반사 이상 (Reflex Abnormalities) : 반사 신경이 비정상적으로 강해지거나 약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릎 반사 또는 발목 반사가 감소하거나 과도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헐적 파행 (Intermittent Claudication)

 

간헐적 파행은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 특징 : 걸을 때 다리와 엉덩이에 통증이나 무감각이 발생하여 걷기 어려워지며, 앉거나 앞으로 몸을 구부리면 통증이 완화됩니다. 이는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이 압박을 받을 때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 기전 : 오래 걷거나 서 있을 때 신경이 압박되면서 혈류 공급이 감소하여 통증과 피로감을 유발합니다. 휴식을 취하면 혈류가 회복되면서 증상이 완화됩니다.

 

 

척추관협착증 증상
척추관협착증 증상 / 출처 : 제일정형외과병원 (https://m.blog.naver.com/cheil2019/223127109655)



 

운동 장애 (Motor Dysfunction)

 

운동 장애는 척추관협착증의 심각한 증상으로,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 운동 범위 감소 : 허리나 목의 운동 범위가 줄어들고, 특정 동작을 할 때 통증이 발생하여 자유로운 움직임이 어려워집니다.
● 균형 장애 : 다리의 근력 약화와 감각 이상으로 인해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넘어지기 쉬워질 수 있습니다.


요추부 척추관협착증 추가 증상

 

하지 방사통 (Radicular Pain) : 척수 신경근이 압박되어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추부 후만증 (Lumbar Lordosis) : 허리를 구부리거나 앞으로 숙이는 자세를 취하면 통증이 완화되기 때문에 요추부 후만증 자세를 자주 취하게 됩니다.



경추부 척추관협착증 추가 증상

 

상지 증상 (Upper Extremity Symptoms) : 팔과 손에 힘이 빠지거나 미세한 동작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채우거나 펜을 잡는 동작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척수병증 (Myelopathy) : 심한 경우 척수 자체가 압박되어 전신적인 신경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리의 무감각이나 약화, 배변/배뇨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 증상
척추관협착증 증상 / 출처 : 대전일보 (https://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9439)

 

 

척추관협착증 주요 발생 부위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위는 경추(목 부위)와 요추(허리 부위)입니다. 각 부위의 척추관협착증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증상과 원인을 포함하여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경추 협착증 (Cervical Spinal Stenosis)

 

경추는 목 부위에 있는 척추를 의미하며, 총 7개의 경추(C1~C7)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추 협착증은 이 부위에서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주요 원인 ◀

● 디스크 퇴행 : 디스크가 퇴행하면서 높이가 낮아지고, 척추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어 신경을 압박합니다.
● 골극 형성 : 퇴행성 변화로 인해 뼈 돌출(골극)이 형성되어 척추관을 좁히게 됩니다.
● 후종인대골화증 : 척추관 내의 인대가 골화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입니다.
● 외상 : 경추에 가해진 외상으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질 수 있습니다.

 

 

경추관협착증 증 / 출처 : 정동병원 (https://www.jungdonghospital.com/bbs/index.php?jb_code=20&jb_idx=883&search_key=&search_keyword=&page=)

 

 

▶ 증상 ◀

● 목 통증 : 지속적인 목 통증이 나타납니다.
● 방사통 : 통증이 어깨, 팔, 손가락으로 방사됩니다.
● 감각 이상 : 손과 팔에 저림, 무감각, 따끔거림이 발생합니다.
● 근력 약화 : 팔과 손의 근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 균형 장애 : 심한 경우 보행 시 균형을 잃을 수 있습니다.
● 척수 압박 : 척수가 압박되면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추관협착증
경추관협착증 / 출처 : 정동병원 (https://www.jungdonghospital.com/bbs/index.php?jb_code=20&jb_idx=883&search_key=&search_keyword=&page=)




요추 협착증 (Lumbar Spinal Stenosis)

 

요추는 허리 부위에 있는 척추를 의미하며, 총 5개의 요추(L1~L5)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요추 협착증은 이 부위에서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주요 원인 ◀

● 디스크 변성 : 디스크가 퇴행하고 탈출하거나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합니다.
● 골극 형성 : 퇴행성 변화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질 수 있습니다.
● 척추 전방전위증 : 하나의 척추뼈가 다른 척추뼈 앞쪽으로 밀려나가 척추관을 좁히는 경우입니다.
● 척추관의 선천적 협소 :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은 경우입니다.
● 후종인대골화증 및 황색인대 비대 : 척추관 내부의 인대가 두꺼워지거나 골화되어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 증상 ◀

● 요통 : 지속적인 허리 통증이 발생합니다.
● 방사통 : 통증이 엉덩이, 다리, 발까지 방사됩니다.
● 간헐적 파행 :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리의 통증이나 무감각이 발생하며, 휴식을 취하면 호전됩니다.
● 감각 이상 : 다리와 발에 저림, 무감각, 따끔거림이 나타납니다.
● 근력 약화 : 다리와 발의 근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 운동 장애 : 오래 걷거나 서 있는 것이 어렵습니다.

 

 

요추관협착증
요추관협착증 / 출처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1)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경추(목 부위)와 요추(허리 부위)에서 발생하며, 각 부위에서 신경 압박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을 초래합니다. 경추 협착증목, 어깨, 팔, 손에 통증과 감각 이상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척수 압박으로 인한 심각한 신경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요추 협착증허리, 엉덩이, 다리, 발에 통증과 감각 이상을 일으키며, 간헐적 파행과 운동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각 부위의 원인과 증상을 이해하고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통해 척추관협착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