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혈관부종 VS 두드러기?! 혈관부종 원인 종류 차이점

by 강부장2 2024. 6. 14.
붓고 가려운데 두드러기가 아니라구요?!
원인을 알 수없는 팽진(모기에 물린 것처럼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과 가려움이 동반된다면 두드러기 혹은 알레르기라고 예단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예상과는 달리 혈관부종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혈관부종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혈관부종 원인 종류 차이점
혈관부종 원인 종류 차이점

 

 

목차

1. 혈관부종
2. 혈관부종 원인
3. 혈관부종 VS 두드러기
4. 혈관부종 치료와 관리

 

"두드러기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세요!!"

 

가려워 박박 두드러기인가?! 두드러기 원인 종류 증상

온도 차이가 커지는 환절기나 외부, 내부의 온도 차이가 큰 장소를 다녀올 때면 신체 특정부위가 가려워 두드러기 형태로 팽진(모기에 물린 것처럼 부어오르는)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gm-kang-metamind.tistory.com

 

 

혈관부종 (Angioedema)

 

 

혈관부종(Angioedema)피부 깊은 층, 특히 피하조직과 점막 아래 조직에 부종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혈액 성분이 주변 조직으로 빠져나가면서 발생합니다. 혈관부종은 주로 얼굴, 입술, 혀, 목구멍, 손, 발, 생식기 등의 부위를 침범하며, 때로는 내장기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혈관부종
혈관부종 / 출처 : https://blog.naver.com/asanallergy/222546669719

 

 

혈관부종은 가렵고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두드러기 또한 동시에 발생됩니다. 이 부종은 신경이 압박되어 영향을 받는 부위의 감각이 무뎌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혈관부종이 빠르게 진행되는 경우, 기도 폐쇄와 질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 처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혈관부종 증상과 징후
혈관부종 증상과 징후 / 출처 : https://www.korea.kr/multi/visualNewsView.do?newsId=148903225#visualNews

 

 

혈관부종 증상

 

혈관부종의 증상은 부종이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인 증상

 

● 얼굴 부종 : 입술, 눈꺼풀, 뺨 등이 부어오르며, 부종은 단단하고 가려움증이 적습니다.
사지 부종 : 손, 발 등이 부어오르며, 통증과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점막 부종 : 혀, 목구멍, 후두 등이 부어올라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혈관부종 증상
혈관부종 증상 / 출처 :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3558

 

 

심각한 증상

 

● 기도 폐쇄 : 목구멍과 후두 부종으로 인해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입니다.
내장기관 부종 : 위장관 부종으로 인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관부종 원인

 

 

알레르기 반응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혈관부종은 면역 시스템이 특정 알레르겐에 과민 반응을 보일 때 발생합니다. 음식, 벌독, 약물, 꽃가루 등이 주요 알레르겐입니다. 히스타민과 같은 염증 매개체가 방출되어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합니다.

 

약물 반응

 

특정 약물, 특히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s)와 같은 고혈압 약물이 혈관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에 의한 혈관부종은 복용 후 수일 내지 수개월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 약물을 중단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혈관부종 종류 및 원인
혈관부종 종류 및 원인 / 출처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228939&memberNo=46721269

 

 

유전성 혈관부종 (Hereditary Angioedema, HAE)

 

유전성 혈관부종은 C1 에스터레이즈 억제제(C1-INH)의 결핍이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결핍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됩니다. 유전성 혈관부종반복적인 부종 발작을 특징으로 하며, 주로 스트레스, 외상, 감염 등에 의해 유발됩니다.

 

자가면역 및 기타 원인

 

자가면역 질환이나 감염, 특정 환경 요인 등도 혈관부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 혈관부종의 경우 면역 시스템이 자가 조직을 공격하여 부종을 유발합니다.

 

 

관부종 VS 두드러기

 

 

"두드러기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세요!!"

 

가려워 박박 두드러기인가?! 두드러기 원인 종류 증상

온도 차이가 커지는 환절기나 외부, 내부의 온도 차이가 큰 장소를 다녀올 때면 신체 특정부위가 가려워 두드러기 형태로 팽진(모기에 물린 것처럼 부어오르는)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gm-kang-metamind.tistory.com

 

 

공통점

 

● 피부 반응 : 혈관부종과 두드러기는 모두 피부에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붓기와 가려움증 : 두 가지 질환 모두 피부 아래 층에 붓기가 발생하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외모 유사성 : 붉은 반점 또는 융기가 나타나 겉보기가 비슷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관련성 : 두 가지 질환 모두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관부종 VS 두드러기 - 만성 두드러기
혈관부종 VS 두드러기 - 만성 두드러기 / 출처 :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8120501520

 

 

차이점

 

구분 혈관부종 두드러기
발병 원인 알레르기, 약물, 감염, 자가면역 질환, 호르몬 변화 등 다양 주로 알레르기 반응 (음식, 약물, 꽃가루, 동물 털 등)
붓기 위치 피하 조직, 특히 얼굴, 입술, 눈꺼풀, 손, 발 등에 흔함 진피층 (피부 표면 아래)
크기 보다 크고 붓기가 심함 (수 센티미터까지) 작고 뚜렷한 가장자리가 있음 (수 밀리미터)
색상 붉은색 또는 흰색 붉은색 또는 흰색, 가운데 부분이 흰색일 수 있음
지속 시간 며칠 또는 몇 주 며칠 또는 몇 주 (만성 두드러기는 6주 이상 지속)
반흔 일반적으로 반흔 남지 않음 가려움으로 인해 긁으면 반흔 남을 수 있음

 

 

혈관부종 VS 두드러기 차이점
혈관부종 VS 두드러기 차이점 / 출처 : https://blog.naver.com/jjj_1/221507557425

 

 

혈관부종 치료와 관리

 

혈관부종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며, 급성 발작 시 응급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 항히스타민제 : 알레르기성 혈관부종의 경우, 항히스타민제가 주로 사용됩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에피네프린 :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혈관부종의 경우, 즉각적인 응급 치료로 사용됩니다.

 

응급 치료

 

기도 폐쇄가 발생할 경우, 에피네프린 주사와 같은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심각한 경우, 기도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장기 관리

 

유전성 혈관부종 : 환자는 특정 유발 요인을 피하고, 정기적인 약물 치료로 증상을 관리합니다. C1 에스터레이즈 억제제 보충 요법이나 브라디키닌 억제제 등이 사용됩니다.
약물 유발 혈관부종 : 원인 약물을 중단하고, 대체 약물을 사용합니다.

 

 

혈관부종 응급상황 조치
혈관부종 응급상황 조치 / 출처 :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3558

 

 

자가 진단

 

혈관부종의 진단은 임상 평가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만 조금이라도 걱정이 된다면 자가 진단을 통해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유전성 혈관부종 자가진단법
유전성 혈관부종 자가진단법 / 출처 : https://rarenote.io/contents/news/0a3c5fc8-f504-41c5-b1f3-6db2ef1bd5c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