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폐암 - 폐암초기증상과 치료방법

by 강부장2 2023. 12. 29.
반응형

폐암

폐암은 폐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악성 종양을 형성하는 질환입니다. 폐암은 암 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으로,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200만 명이 폐암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2022년 기준으로 암 사망률 1 ~ 2위를 차지하는 질환입니다. 폐암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흡연이 가장 강력한 발병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 발생 위험이 약 20배 이상 높습니다. 이외에도 석면, 방사선, 환경 오염 등이 폐암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폐암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폐암 / 출처 : 헬스조선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9/25/2023092501081.html)

 

[폐암 종류]

폐암은 폐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종괴를 형성하는 질환입니다. 폐암은 암종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은 폐암의 약 15%를 차지하는 공격성이 매우 높은 폐암의 일종입니다.  소세포폐암은 암세포가 빠르게 증식하고, 일반적으로 폐의 중앙부에 발생하며, 림프절로 빠르게 전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소세포폐암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기침, 가슴 통증, 체중 감소, 호흡 곤란 등이 있습니다.
소세포폐암의 치료는 수술,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소세포폐암
비소세포폐암은 폐암의 약 85%를 차지하는 폐암의 일종으로, 발생 빈도가 높지만, 진행 속도가 느리고 치료가 더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비소세포폐암은 소세포폐암에 비해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소세포폐암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기침, 가슴 통증, 호흡 곤란, 혈담 등이 있습니다.
비소세포폐암의 치료는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수술,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을 단독 또는 병행하여 시행합니다.
비소세포폐암의 세부 분류
비소세포폐암은 세포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부 분류됩니다.
편평상피세포암 : 폐의 가장 바깥쪽 부분을 덮고 있는 편평한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입니다. 비소세포폐암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선암 : 폐의 분비선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입니다. 비소세포폐암의 약 30%를 차지합니다.
대세포암 : 크기가 크고, 세포의 모양이 불규칙한 암입니다. 비소세포폐암의 약 20%를 차지합니다.
기타 : 위의 세 가지 종류에 속하지 않는 암입니다. 비소세포폐암의 약 10%를 차지합니다.

폐암 종류 / 출처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snubh.org/service/info/com/view.do?BNO=478&Board_ID=B004)

[폐암 원인]

폐암의 원인은 크게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폐암의 가장 큰 원인은 흡연입니다. 흡연은 폐암 발생 위험을 약 20배 이상 높입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에 걸릴 확률이 20~30배 높으며, 흡연 기간이 길고 흡연량이 많을수록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폐암의 다른 환경적 요인으로는 대기 오염, 직업적 노출, 방사선 노출 등이 있습니다.
대기 오염 : 대기 오염은 폐암 발생 위험을 약 1.5~2배 높입니다. 대기 오염을 유발하는 물질로는 석탄, 석유, 디젤 등의 연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등이 있습니다.
직업적 노출 : 석면, 석탄, 방사성 물질, 아크릴로니트릴, 베릴륨, 비스페놀 A, 벤젠 등과 같은 물질에 직업적으로 노출된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방사선 노출 : 흉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유전적 요인
폐암의 약 5~10%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폐암의 유전적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유전자 변이 : 폐암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로는 EGFR, KRAS, BRAF, ALK, ROS1, MET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변이가 있는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암 가족력 : 폐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폐암

[폐암 증상]

폐암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암이 진행되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침 : 폐암의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 기침을 할 때 혈액이 섞이면 폐암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가슴 통증 : 폐암이 폐의 벽이나 주변 조직을 침범하면 가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슴 통증은 숨을 쉴 때, 기침을 할 때, 또는 누워 있을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가슴 통증은 흉막을 자극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호흡 곤란 : 폐암이 커져 폐의 공간을 좁히면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호흡 곤란은 계단을 오르거나, 빨리 걸을 때, 또는 평지를 걸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누워서 숨이 차는 경우 폐암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쉰 목소리 : 폐암이 성대 주위의 신경을 침범하면 목소리가 쉬거나, 쉰 목소리가 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체중 감소 : 폐암으로 인해 식욕이 떨어지거나, 암세포의 대사 활동으로 인해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로감 : 암세포의 증식으로 인해 신체의 전반적인 컨디션이 저하되어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혈담 : 폐암이 혈관을 침범하면 혈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담은 기침을 할 때 핏빛 또는 붉은색의 객혈이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빈혈 : 암세포가 혈액을 만드는 세포를 침범하여 빈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뼈 통증 : 폐암이 뼈로 전이되면 뼈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두통 : 폐암이 뇌로 전이되면 두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폐암증상 / 출처 : 루닛케어 (https://www.lunit.care/lung/guides/1458/)

[폐암 조기 발견을 위한 검사]

폐암의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저선량 흉부 CT 검사
저선량 흉부 CT 검사는 일반 흉부 CT 검사에 비해 방사선량이 적은 검사입니다. 저선량 흉부 CT 검사를 통해 폐암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폐암 검진 프로그램
폐암 검진 프로그램은 55세 이상 흡연자 또는 폐암 가족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검사 프로그램입니다. 폐암 검진 프로그램에는 저선량 흉부 CT 검사와 혈액 검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폐암 진단방법]  

폐암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흉부 X-선 검사
흉부 X-선 검사는 폐암의 조기 진단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흉부 X-선 검사를 통해 폐에 종양이나 염증, 폐렴 등의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폐암의 초기에는 폐에 종양이 있어도 흉부 X-선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흉부 CT 검사
흉부 CT 검사는 흉부 X-선 검사보다 해상도가 높아 폐암의 조기 발견과 진단에 더 정확합니다. 흉부 CT 검사를 통해 폐에 종양의 크기, 모양, 위치, 전이 여부 등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기관지 내부에 내시경을 삽입하여 폐의 안쪽을 직접 관찰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통해 폐암의 폐암의 병변을 직접 확인하고, 조직 검사를 통해 암세포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폐암 진단 방법 / 출처 : 경희대학교병원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9862683&memberNo=15001358)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대사 활동을 측정하는 검사 방법(암세포가 포도당을 많이 섭취하는 특성을 이용한 검사)입니다. PET 검사를 통해 폐에 종양이 있는지 여부와 종양의 전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성자 방출 단층 촬영(PET-CT) 
양성자 방출 단층 촬영(PET-CT)은 PET 검사와 CT 검사를 동시에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PET-CT 검사를 통해 폐암의 종양을 더욱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
혈액 검사를 통해 폐암의 암세포가 혈액으로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폐암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 흉부 X-선 검사, 흉부 CT 검사 등의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이루어집니다. 
폐암이 의심되는 경우, 기관지 내시경 검사, 경피적 폐암 세포 검사, PET 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하여 암의 유무와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폐암 치료 방법]

폐암의 치료는 크게 수술,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술
수술은 암세포를 완전히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수술이 가능한 경우, 폐암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수술은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원발 종양 절제술 : 암이 발생한 부위를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암이 폐에 국한된 경우 시행합니다.
림프절 절제술 : 암이 폐에서 림프절로 전이된 경우, 림프절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전이암 절제술 : 암이 폐에서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전이암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항암 치료
항암 치료는 암세포를 죽이는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입니다. 항암 치료는 암의 종류, 진행 정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경구 항암제 : 경구로 투여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정맥 주사 항암제 : 정맥을 통해 투여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방사선 동조 요법 : 방사선 치료와 항암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방법입니다.

폐암 치료 방법 / 출처 : 헬스조선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08012901108)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방사선을 사용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방사선 치료는 수술 전 암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거나, 수술 후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항암 치료와 병행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방사선 치료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외부 방사선 치료 : 외부에서 암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내부 방사선 치료 : 암세포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약물을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표적 치료
표적 치료는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암세포를 죽이는 치료 방법입니다. 표적 치료는 항암 치료와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면역 치료
면역 치료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면역 치료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일부 암에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폐암의 치료는 암의 종류, 진행 정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술이 가능한 경우 수술을 우선 시행합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항암 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를 단독 또는 병행하여 시행합니다.

폐암 치료 후 관리 방법 - 금연

[폐암 치료 후 관리 방법]

폐암의 치료 후에는 재발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폐암 치료 후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기적인 추적 검사
폐암 치료 후에는 재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추적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적 검사는 암의 진행 정도, 치료 효과 등을 확인하고,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합니다.
일반적으로 비소세포폐암의 경우수술 후에는 3개월마다, 방사선 치료 후에는 6개월마다, 항암 치료 후에는 3~6개월마다 추적 검사를 받습니다. 소세포폐암의 경우수술 후에는 2~4주마다, 항암 치료 후에는 2~4주마다 추적 검사를 받습니다.
추적 검사에는 다음과 같은 검사가 포함됩니다.
● 흉부 엑스레이 : 폐의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 흉부 CT : 폐의 세부적인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 혈액 검사 : 암세포의 재발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 종양 표지자 검사 : 암세포의 재발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약물 치료
폐암 치료 후에는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약물 치료에는 표적 치료, 면역 치료 등이 있습니다.
● 표적 치료 :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은 편입니다. 
● 면역 치료 :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암세포의 재발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
폐암 치료 후에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연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흡연은 폐암의 가장 큰 위험 요인입니다. 폐암 치료 후에도 흡연을 하면 암의 재발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폐암 치료 후에는 반드시 금연을 해야 합니다.
● 규칙적인 운동은 폐 건강을 증진하고, 암세포의 재발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루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균형 잡힌 식사는 암세포의 재발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리 치료
폐암 치료 후에는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심리 치료를 받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심리 치료는 환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환자가 적절한 대처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료입니다. 

정기검진

[폐암 예방 방법]

폐암의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연
흡연은 폐암의 가장 큰 위험 요인입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에 걸릴 위험이 20~30배 높습니다. 흡연을 하면 폐에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 물질이 축적되어 암세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대기 오염 
대기 오염은 폐암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기 중의 미세먼지, 오존, 이산화황 등은 폐에 염증을 일으켜 암세포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대기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업적 노출 피하기
석면, 비소, 납, 벤젠 등은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입니다. 이러한 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직업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식생활 유지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채소와 과일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암세포의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적정 체중을 유지하면 폐암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으로 운동은 폐 건강을 증진시키고, 암세포의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기적인 검진
폐암의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40세 이상의 흡연자 또는 흡연력이 있는 사람은 2년마다 저선량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LDCT)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